[언리얼엔진4]2D 애셋 만들기
언리얼엔진4로 만들어진 게임 태피치킨입니다.
언리얼엔진은 분명 3D엔진인데.. 태피치킨을 보면 2D로 만들어져있죠?
에픽게임즈에서 언리얼엔진4의 확장성을 보여주기위해서 만든 게임입니다.
그럼 이러한 2D 이미지를 어떻게 불러오는 것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이런 2D 게임을 만들기 위해서는 먼저 준비물이 있습니다.
평평한 매쉬와 투명처리된 PNG파일!
저같은 경우 매쉬는 그냥 3D MAX의 Plane을 이용해서 적당한 크기로 만들었습니다.
이 파일들이 준비가 되었다면 언리얼엔진으로 이동을 해서 임포트를 해야겠죠?
콘텐츠 브라우저 탭에서 임포트 버튼을 클릭해줍니다.
그 뒤 아까 만들어논 파일을 불러오면
FBX파일의 경우 위의 창을 볼 수 있을 것 입니다.
그때 Static Mesh를 선택하고 임포트를 클릭( PNG 파일의 경우 자동으로 텍스쳐로 인식해서 들어가게 됩니다.)
이렇게 임포트를 완료했다면 각각 텍스쳐와 스태틱 매쉬가 콘텐츠 브라우저에 등록이 됩니다. 각각 적당한 이름을 지어주고
여기서 끝이면 좋겠지만 매쉬에 머티리얼 등록도 안되어있고 텍스쳐를 머티리얼화 시켜야지만 이미지를 게임 내에서 재대로
불러올 수 있게 됩니다.
(확대해서 보세요)
일단 머티리얼을 만들기 전 텍스쳐에 간단한 세팅을 해줍니다.
자신이 수정할 텍스쳐를 더블클릭하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올 것 입니다. 텍스쳐에 설정을 변경하고 확인할 수 있는 곳 입니다.
화면 우측을 보면 Level of Detail 이라는 패널이 보입니다.
이곳에서
Mip Gen Settings을 NoMipmaps 으로
LOD Group을 UI 로
설정을 해주면 콘텐츠브라우저에서 이상하게 보이던 텍스쳐가 투명값이 정상적으로 처리된것 처럼 보이게 됩니다.
이 설정이 끝났으면
콘텐츠 브라우저의 추가 - 머티리얼을 통해 머티리얼을 한개 생성해줍니다.
그리고 생성된 머티리얼을 더블클릭해서 머티리얼 수정으로 들어가줍니다.
머티티리얼 기본 노드(우)를 클릭하면 디테일 패널(좌)이 위와같이 보일 것 입니다.
이곳에서
Material Domin 을 Surface 로
Blend Mode를 Masked 로
Lighting Model 을 Unlit 로
바꿔줍니다.
그리고 머티리얼 블루프린트 노드를 이렇게.... 연결해 주면 기본적인 머티리얼은 완성
머티리얼을 완성 했으면
스태틱 매쉬를 더블릭을 해서 스태틱 매쉬 편집으로 이동 합니다.
이곳에서 우측 디테일 패널의
LOD0의 앨리먼트 0의 머티리얼을 방금 만든 머티리얼로 불러오기만 하면 끝!!
이제 이것을 뷰포트에 옮기면 그 결과물을 보실 수 있습니다.
-----------------------------------------------------------------------------------------------------------------
지금 만들고 있는것이 태피치킨을 기초로 만들다 보니 이런것도 한번 설명해봤습니다.
아는것이 부족하지만 계속해서 배워나가서 글을 써보겠습니다.